top of page
검색

“온라인 시대의 핵심은 개방성… 소통하는 단체가 인정받아



팬더믹 상황에서 여성회 활동을 위해 온라인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는데

2014년도 갤러리 시작 준비할 때부터 온라인을 통해서 홍보하고 노출을 많이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한국 작가들을 외국에 소개할 때 구글에서 검색이 많이 나와야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요즘 시대에는 온라인이 기본이니까. 온라인이 재미 있는게 검색을 통해 결과들이 나오면 하나의 점을 통해 여러 연결점으로 연결되듯이 네트워크가 퍼져나가고 접근이 된다. 이게 비즈니스에서뿐만 아니라 여성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게 잘 되어 있으면 내부 작용이 서로 될 수 있게 된다.

최근 모바일 홈페이지로 개편했는데 디자인과 모바일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가 있는지

디자인에 대해서 사람들이 단순이 ‘예쁘게 했겠지’라고 말하겠지만 사실은 그 정도가 아니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손으로 들고 보면서 얼마나 쉽게 쇼핑이나 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지 관계된 모든 것이 디자인이다. 모바일 친화성(Mobile-Friendly)라고도 하는데 보기 좋고 사용하기 좋게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개편된 여성회 홈페이지에서 이벤트를 개최한다고 포스팅을 하면 핸드폰으로 바로 예약할 수 있게 설정해 놓았다. 안내 게시물의 'RSVP (초대)' 버튼을 클릭한 뒤 참가자의 이름과 이메일 등 간단 정보를 넣으면 끝이다.

회원들에게 다시 카톡을 보내거나 전화를 걸어 의사를 물어볼 필요가 없다. 이렇게 양뱡향으로 상호작용하게 셋팅해 놓으면, 일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피드백을 곧바로 받을 수 있다. 요즘 트렌드가 그렇다.

여성회 홈페이지는 다른 한인 단체의 것보다 잘 관리되는 편인데 또 개편?

여성회 홈페이지 개편은 예전부터 의견은 나왔지만 팬더믹 상황에서 탄력을 받은 것 같다. 예전의 홈페이지도 여성회 단체의 정보나 안내, 컨텐츠는 잘 운영되어 왔다.

하지만 기존 여성회 홈페이지의 프레임이 2000년대에 디자인된 것이었다. 당시는 모바일은 존재하지 않았거나 시작할 때였다. 지금 스마트폰에 맞는 모바일 프렌들리로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한 것이다.

앞서 담당했던 이태옥 부회장이 사진과 정보들을 깔끔하게 정리를 잘하고 있었기 때문에 모두 백업 받아서 새로운 버전으로 쉽게 데이터 이전할 수 있었다.

전문적인 IT 전공이수나 교육을 받았는지?